시사 경제 용어
시사 경제 용어
용어검색
오늘의 용어
대체투자
1)채권이나 주식과 같이 전통적인 투자 상품 대신 부동산, 인프라스트럭처, 사모펀드 등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채권보다 수익률이 높고 주식에 비해서는 위험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빈번한 금융위기 발생등 투자환경 변화로 투자자들이 안정성이 다소 떨어져도 수익성이 높은 곳으로 눈을 돌리면서 대체투자가 활발해지고 있다. 사회간접펀드, 벤처 기업, 원자재, 사모펀드, 선박, 테마파크, 항공기, 기숙사 등으로 대체투자 범위가 넓어지는 추세에 있다.
주식과 채권의 중간 개념인 전환사채(CB, Corporate Bond), 신주인수권부사채(BW, Bond with Warrant) 등 ‘메자닌 투자’도 대체투자 대상으로 인기다. 메자닌은 건물의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공간을 뜻하는 이탈리아어다.
한때 부유층의 전유물이었던 고급 위스키도 대중적인 대체 투자 자산으로 주목 받고 있다. 경매 시장에서 그림이나 조각, 골동품, 시계, 귀금속은 마시거나 먹을 수 없지만 위스키는 음미할 수 있어 더 매력적인 재화로 통한다.
대체투자펀드는 부동산 항공기 인프라 등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대체투자 펀드는 일반 주식형펀드보다 안정적이면서 채권 보다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실물에 투자하기 때문에 자산을 되팔아 추가 수익을 내는 장점이 있다.
2)대체투자는 기존의 기계나 설비를 새로운 것으로 바꾸기 위한 투자를 뜻한다. 이러한 투자는 마모되거나 손상된 기계를 동종의 기계 또는 유사한 시설로 대체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높이거나 생산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반도체, IT, 생명공학 등 기술진보가 빠른 첨단산업 분야는 기술적 진부화에 의한 신속한 대체투자가 기업 성패를 좌우한다.